최악의 코로나19 변이 스텔스 오미크론 -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 XBB.1.5
미국에서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 XBB.1.5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데 현존 오미크론 하위 변이들 중 면역 회피력이 가장 강하다고 알려져 미 보건 당국이 긴장하고 있습니다.
1월 2일(현지시간) 미 질병통제예방센터(CDC)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 XBB.1.5가 전체 코로나19 감염에서 40.5%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지난달 24일 기준 21.7%에서 일주일 만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입니다.
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 XBB.1.5는 '스텔스 오미크론'으로 불린 BA.2에서 파생된 XBB의 하위 변이이며 XBB는 지난해 8월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뒤 싱가포르의 재확산을 이끌었습니다. 당초 미국에선 지난해 가을 여러 오미크론 하위 변이들이 동시에 확인돼 '우세종 경쟁'을 벌이는 모양새였는데, XBB.1.5가 다른 변이들을 제치고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. 뉴잉글랜드·뉴저지·뉴욕 등 미 북동부 지역에선 XBB.1.5의 검출률이 전체 감염의 75%에 달합니다.
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건 스텔스 오미크론 XBB.1.5의 강한 면역 회피력입니다. XBB는 면역 회피력 면에서 '현존 최악의 코로나19 변이'로 꼽혀왔는데, XBB.1.5가 이를 능가한다는 분석입니다.
CNBC 등에 따르면 "XBB.1.5는 다른 변이들보다 세포에 더 잘 결합되도록 하는 추가적인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. 그리고 XBB.1.5는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변이 중 가장 전염성과 면역 회피력이 강하다고 합니다.
앞서 지난달 미 컬럼비아대 연구진은 과학 저널 셀(Cell)에 발표한 연구 논문을 통해 "XBB 하위 변이는 오미크론용 백신 부스터샷에 강한 저항력까지 갖춰 위협적"이라고 했다.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 알레르기·전염병연구소(NIAID) 소장도 "XBB 하위 변위는 부스터샷이 제공하는 면역 효과를 감소시킨다"고 우려한 바 있습니다.
뉴욕타임스(NYT)에 따르면 1일 기준 미국의 최근 7일 평균 코로나19 하루 입원 환자는 4만4243명으로 2주 전보다 7% 증가했으며, 중환자실 입원 환자도 같은 기간 평균 5303명으로 2주 전보다 11% 증가했지만 아직까지 XBB.1.5가 직접적으로 더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한다는 점이 입증되진 않았습니다.
'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보카도오일 먹어도 될까? 아보카도오일 종합평가표, 비교분석 (0) | 2023.01.03 |
---|---|
[신용카드추천] 아파트 관리비 할인 카드 (0) | 2023.01.02 |
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 복지혜택 6가지 나라미, 에너지바우처, 생리용품바우처, 기저귀바우처, 조제분유바우처, 스포츠강좌바우처, 문화누리카드 (0) | 2023.01.02 |
중복 가입 실손보험 해지 환급 및 보험료할인 50%, 10% (0) | 2023.01.02 |
365열린어린이집 보육 서비스 이용방법, 이용금액, 예약, 제출서류 (0) | 2023.01.02 |
댓글